◎ 6년 경기미 품질 향상은 어디까지?
◎ 농정관련 통합 데이터 어디도 없어

2014년 쌀시장 전면 개방때 경기도 농정해양국은 TF팀을 만들어 쌀 산업 발전 대책을 4가지 분야로 나눠 심도 깊게 논의 하였다.
 
그때 첫째 분야가 경기미 품질 향상인데 경기농정 관계자는“6년이 지난 지금 경기미는 품질 향상 보다 농가 소득증대가 최우선과제다" 말하고 있다.
 
또한, 쌀 농업은 육종-채종-육묘-생육-수확-유통-소비를 하나의 벨류 체인화하여 쌀에 대한 자료,통계를 농정국 산하 농산유통과,친환경과, 농업기술원,종자보급소등에서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경기 농정 관계자는 “경기도에서 생산되는 우수 농산물에는 G마크가 부여된다.

G마크는 한 마디로 경기도지사가 품질을 인정하는 우수한 농산물이다”라며 말하고 있지만 쌀 문제에 들어가면 현실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주장이 된다.
 
G마크는 허가 개념이 아닌 인증 개념으로 경기도가 2년 마다 한 번씩 경기도에서 생산되는 농작물에게 부여하는 명예훈장 같은 것이다. 그래서 이를 받기 위해 많은 농가들이 부산을 떨고 있다.
 
그러나 쌀 분야에서 G마크를 받기 위해 실제 해야 할 일은 국가에서 인증한 ‘GAP 인증’을 받거나 친환경으로 재배한 쌀이어야 한다는 기본 조건만을 달고 있다.
 
이에 대해 경기도 농정 관계자는“G마크는 여기에 시설과 위생까지 포함시켜 조사를 해서 G마크를 부여해주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경기도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고품질 브랜드 쌀 중에는 당당하게 경기도지사 인증 G마크를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 쌀의 품질을 소비자에게 알려주는 “등위”표시가 없는 쌀들이 태반이다.
 
쌀의 등위표시는 등급에 따라‘특, 우수, 보통, 등급 외’로 구분되며 통상 일 년에 한 번, 첫 수확한쌀의 출하시기에 한 번 정도 하고 나머지는 거의 안하는 것이 보통이다.이와 관련, 경기 농정 관계자는 “등위 표시는 정부 권장표시사항으로 표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쌀의 품질에 대해서 별도로 표기를 강요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에 쌀의 품질에 자신이 있는 일부 경기미는 당당하게 등위 표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쌀의 품질에 자신이 없는 경기미들은 생산이력표기 난에 버젓이 기재되어 있는 등위 표시를 전혀 하지 않고 판매를 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가 쌀을 구매할 때 쌀의 품질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생산자의 양심만을 믿고 구매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과거 이명박 전 정부시절 두부의 원산지 표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을 때는 수입두부의 원산지표기란에 ‘미국산 대부 100%’라는 표기를 볼 수 있었다. 그런데 대두의 수입처가 브라질, 캐나다,호주 등으로 확산되면서 이명박 전 정부는 두부 생산자의 편의만을 생각해 수입산 이라고 뭉뚱그려 표기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수입대두로 만든 두부는 어느 나라의대두로 만들었는지 모르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에서도 소비자는품질을 모르고 구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셈이다.
 
경기도지사가 G마크를 부여해 품질을 보증했다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쌀의 품질 등급을 알 수 없는 상태로 팔리고 있는 쌀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는 바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경기도 농정국은 G마크 인증조건에 쌀의 품질을 나타내는‘등위’표기를 “정부에서도 그렇게 한다”며G마크 인증 조건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결과는 같은 G마크를 받은 쌀이라고 할지라도 품질 표시가 없기 때문에 실제 질의 차이가 얼마나 크게 나고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다른 말로 하면 너무 많은 경기도 브랜드 쌀들이 거의 모두다 G마크 달고 있지만 어느 것 하나 믿을 만한 쌀은 아니라는 것이며 경기도 농정국이쌀의 등위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전까지 쌀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계속해서 품질 우롱을 당해야만 한다는 사실이다
 
저작권자 © 지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